Firebase Authentication에서 카카오 로그인 OIDC(OpenID Connect) 프로바이더 설정 방법을 설명하겠습니다.
1. 카카오 OIDC 클라이언트 설정
1.1 카카오 개발자 콘솔에서 애플리케이션 생성
- 카카오 개발자 콘솔에 로그인
- 애플리케이션 생성 후 필요한 정보 입력
- 생성된 앱의 앱 키 확인
1.2 OIDC 설정
- [카카오 로그인] 활성화
- Redirect URI 설정
- OIDC 설정 메뉴에서 발급한 클라이언트 ID, 클라이언트 Secret 확인
2. Firebase Authentication OIDC 설정
2.1 Firebase 프로젝트 생성 및 Authentication 활성화
- Firebase Console에서 프로젝트 선택
- Authentication → 로그인 방법 → 새 제공업체 추가
- OpenID Connect (OIDC) Provider 선택
2.2 OIDC 프로바이더 등록
- Provider ID: Kakao
- Client ID: 카카오에서 발급한 클라이언트 ID 입력
- Client Secret: 카카오에서 발급한 클라이언트 Secret 입력
- Issuer URL (발급자 URL) : https://kauth.kakao.com
3. 클라이언트 (React/JavaScript)에서 로그인 구현
3.1 Firebase SDK 설정
프로젝트 > 일반에서 SDK 설정 방법 확인
const signInWithKakao = async () => {
const provider = new OAuthProvider("Kakao");
try {
const result = await signInWithPopup(auth, provider);
console.log("User Info:", result.user);
} catch (error) {
console.error("Error logging in with Kakao:", error);
}
};
'3th Party Util' 카테고리의 다른 글
Supabase 에서 카카오 로그인 설정 (0) | 2025.03.27 |
---|---|
OKTA 에서 카카오 로그인 OIDC 설정 (0) | 2025.03.24 |
AWS Cognito에서 카카오 로그인 설정 (0) | 2025.03.18 |
워드프레스에서 카카오 로그인 / 카카오톡 공유/카카오스토리 공유/카카오톡 채널 채팅(상담하기)/카카오톡 채널 친구추가 플러그인 사용 (87) | 2022.11.08 |
asp.net core 에서 nuget 라이브러리로 카카오 로그인 (0) | 2022.05.04 |
댓글